Yiksan0315's Blog

Poisson Distribution

  • or
  • 푸아송 확률 분포

# Tag:


Poisson Distribution

Poisson Random Variable에 대한 확률 분포.

일어날 사건의 개수의 평균 parameter 에 대해, 개의 사건이 일어나는 에 대해서

  • 이론 상 는 상한선이 없는 음이 아닌 정수이다.
  • : 양수인 parameter이며, 일어날 사건 개수의 평균이다.

Expectation of Poisson Random Variable

이 때, 일 때, 이므로 이를 제외하고 , 로 바꾸면

는 Taylor Series이므로, 와 동일하다. 따라서 Expectation은

이는, 가 일어난 사건 개수의 평균임을 의미한다. 를 average rate라고 부르기도 한다.

Variance of Poisson Random Variable

여기서 는 Taylor Series를 미분 하여서 구할 수 있다.

양변에 를 곱하고 다시 미분하는 과정을 거치면, 를 만들 수 있다.

따라서

Poisson Paradigm

푸아송 확률 분포는 특정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의 사건을 세는 데 있어 근사시켜 활용할 수 있다.

정확히는 푸아송 확률 분포가 특정 기간 혹은 공간 내에서 일어난 사건의 개수를 세는 확률 변수에 근사하는 데 유용하다.

  1. 사건들이 독립적으로, 혹은 거의 독립적인 수준에 가깝게(weakly denpendent) 일어날 때,
  2. 특정 기간 혹은 공간 내에서 일어나는 각 사건들의 확률이 매우 작으면서, 시도 횟수는 굉장히 많을 때

푸아송 분포에 근사시켜 사용할 수 있다.

  1. 의 사건들이 각각 라는 아주 작은 확률로 일어난다 했을 떄, 일어난 사건의 개수를 나타내는 확률 변수 라고 하자. 이는 푸아송 확률 변수와 거의 동일하다.
  2. : Indicator Random Varaible의 기대값은 그 사건의 확률과 동일하다.
  3. 만약 이 사건들이 각각 독립적이게 일어나지만, 그 확률이 모두 같은 Binomial Distribution이였다고 하면 . 즉 이항 분포의 일종의 근사로써 활용 가능하다.

Binomial Distribution으로의 근사

정확히 근사하려면, 독립이라는 조건은 기본으로 깔려 있으니

  1. 확률이 아주 작고:
  2. 시도의 횟수가 아주 많은 조건:
    를 만족시키면 된다.

근사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을 보일려면, 위와 같이 극한을 취했을 때 푸아송 분포와 동일해진다는 걸 보이면 된다.

이를 위해 를 대입하여 PMF를 바꾸면

  • : 분모, 분자를 모두 로 나누고 를 취하면 .
  • : 의 정의를 활용하면
  • : 를 취하면 .

따라서, 극한을 취하면

로 푸아송 분포와 일치한다.

toc test

이 페이지는 리디주식회사에서 제공한 리디바탕 글꼴이 사용되어 있습니다. 리디바탕의 저작권은 리디주식회사가 소유하고 있습니다.

This Font Software is licensed under the SIL Open Font License, Version 1.1.

Copyright 2025. yiksan0315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