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iksan0315's Blog

LDA

# Tag:

  • Source/KU_ML

LDA

class간의 선형 경계를 찾는 방법으로, 주어진 데이터를 선형 변환해 각 class 간의 Variance를 최대화하고, class 내부의 Variance를 줄이는데 중점을 둔다. 이는 곧 Clustering에서의 Error로도 활용 가능하다.

Bayesian Decision을 기반으로 하는 이론 중 하나로, 모든 class는 동일한 Covariance 행렬을 가진다고 가정한다. 차원이 높은 데이터에서 차원을 줄이는 데 활용되기도 한다.

QDA처럼, 모든 class의 데이터가 Gaussian Distribution을 따른다고 가정하며, class간의 분포 차이는 평균의 차이에서 발생한다.

  • 차원이 높은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차원 축소가 가능하다.
  • class간의 분리가 명확할 때 효과적으로 작동한다.
  • 동일한 Covariance 행렬을 가정하므로, 계산 비용이 낮다.

를 찾는 것이므로 위에 비례하는 함수

를 사용하며, [[QDA]]와 동일하지만, 모든 class에 대해 동일한 Covariance를 사용한다는데 차이가 있다.

toc test

이 페이지는 리디주식회사에서 제공한 리디바탕 글꼴이 사용되어 있습니다. 리디바탕의 저작권은 리디주식회사가 소유하고 있습니다.

This Font Software is licensed under the SIL Open Font License, Version 1.1.

Copyright 2025. yiksan0315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