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unting
# Tag:
셈 원리(Counting Principle)
Sample space 집합의 수를 세는 방법.
곱의 법칙(Multiplication Rule)
발생 가능한 경우의 수가 가지인 번의 시행에서 발생 가능한 모든 경우의 수는
각 시행은 모두 독립적이며, 그 시행의 순서가 바뀌어도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는 곱셈의 교환 법칙과 일맥상통한다.
이항 계수(Binomial Coefficient)
n개 중의 k를 고르는 것. Combination을 의미한다.
순서가 중요하지 않은 k개의 원소를 지닌 부분 집합의 갯수.
곱의 법칙에 의해 명의 순서를 곱하고, 그렇게 나온 부분 집합에서 순서는 중요하지 않으므로 (순서를 따지지 않았을 때 중복된 갯수)으로 나눈다.
: 10개를 4개 / 6개로 나누는 경우라고 한다면, 10개 중 4개를 택하는 경우와 6개를 택하는 경우는 같을 수 밖에 없다.
다만, 라고 한다면, 10개를 5개 / 5개로 나누는 경우라면 그 조합이 중복해서 세어지므로 2로 나누어주어야 경우의 수가 옳게 계산된다.
Sampling Table
n개 중에서 k개를 뽑는 표본 추출은, 복원과 순서 여부에 따라 달라진다.
- 복원: 동일한 대상을 다시 적용 가능함.
- 순서: k개를 원소를 가지는 집합 내에서 순서의 유무
| Ordered | Non-ordered | |
|---|---|---|
| 복원 | ||
| 비복원 |
: n개의 구분 가능한 상자에 k개의 구분 불가능한 입자를 배열하는 경우의 수와 같다.
- 개의 구분 불가능한 입자의 "위치"와, 그리고 상자는 개의 "위치"로 구분되므로 어떤 상자에 놓이는지(상자의 구분선이 어디에 그어지는 지: 어떤 입자를 택하는지), 그리고 몇 번째 위치에 놓이는 지를 합쳐 총 개의 경우가 생긴다.
- 이 중 k개의 입자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 이 경우와도 동일하다. 입자의 위치()를 고르든, 혹은 상자의 분리선 위치()를 고르든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
Another case: 1
- 오른쪽의 경우: 개 중에서 개 뽑기, 명 중에서 한 명을 대표으로 뽑는(곱의 법칙) 문제로 해석
- 왼쪽의 경우: 대표를 먼저 뽑고, 남은 개 중에서 개을 뽑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