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iksan0315's Blog

LOTUS

  • or
  • Law of the Unconscious Statistician

# Tag:


LOTUS(Law of the Unconscious Statistician)

어떠한 Random Variable을 정의역으로 받아 만들어지는 새로운 함수(=Random Variable)의 기대값을 계산할 때, 그 분포(PDF/PMF)를 그대로 사용해여 계산해도 동일하다는 이론.

는 Random Variable 의 PDF. PMF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즉, 새로운 Random Variable 의 distribution 함수를 구하지 않고도 기대값을 계산할 수 있다.

직관적으로 생각해보자면, 어떤 변환 함수 를 거쳤다 하더라도, 가 뽑힐 확률 자체는 동일하므로 그 분포 함수를 그대로 사용해도 된다고 볼 수 있다.

성립 이유

표본 공간 에 대해, 각 원소 의 결과 값(를 적용한 결과) 그 확률을 곱해 모두 더하면 기대 값의 정의이다.

이 때, 가 가질 수 있는 값 외에는 확률이 0일테니, 그러한 별로 모아서 계산 한다고 하면

안 쪽의 합의 에 대해서는 가 성립하므로, 그 합 안에서는 이다.

그리고 내부의 합 를 만족하는 들의 확률의 합이므로 와 같다.

따라서 LOTUS 법칙이 성립한다.

2-D LOTUS

2차원 상에서의 LOTUS.

즉, 두 확률 변수 에 대해서 동시에 다룰 때에 대한 LOTUS 법칙이다.
의 Joint PDF , 그리고 에 대한 치역이 실수인 변환 함수 에 대해서

이 성립한다.

toc test

이 페이지는 리디주식회사에서 제공한 리디바탕 글꼴이 사용되어 있습니다. 리디바탕의 저작권은 리디주식회사가 소유하고 있습니다.

This Font Software is licensed under the SIL Open Font License, Version 1.1.

Copyright 2025. yiksan0315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