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iksan0315's Blog

Probability

  • or
  • 확률

# Tag:


Probability

Non-naive definition of naive-Probability

모든 event가, 동일한 확률로 일어나지 않는 경우도 존재.

확률은 Bayesian에서 믿음의 정도로 보기도 하며, 어느 쪽으로 해석하든 작용하는 의미는 동일하게 된다.

확률 공간(Probability space)

로 구성되는 공간.

  • = Sample space: 어떤 event()를 부분 집합으로 가진다.
  • = function, 어떤 event()를 입력으로 하는 함수. 즉, 의 정의역은 의 부분 집합이며, 그 출력은 0과 1사이가 된다.

Axioms

두 가지 Axiom로부터 대부분의 식을 유도할 수 있으며, 확률론의 기초가 된다.
  1.  : 공집합에 대한 확률은 0이며, 전체 집합에 대한 확률은 1이다.
  2. : ​​ : U는 합사건을 의미한다.

Fundamental Probability Properties from Axioms

이로부터 유도되는 기본적인 확률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Assumption: Let Sample Space as , event as .

  • Complement Rule: 만약 사건 가 일어나지 않을 확률은
    • from Axiom2 ... (1)
    • from Axiom 1 ... (2)
    • 따라서 (1)과 (2)에 따라 성립한다.
  • Monotonicity(Subset Rule): 만약 사건 의 부분 집합일 경우(가 일어났다면 도 반드시 일어남을 의미 ⇔ : 필요조건), 가 반드시 성립한다.
    • ....(1)
    • from (1) : 따라서 성립한다.

Independence ⇔ Muliplication rule

두 사건 가 서로 independent하다면 가 성립한다.

independent는 한 사건이 다른 사건의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의미하며, 보통 동시에 일어날 수 있다. () 는 두 사건이 동시에 일어났음을 의미한다.

Disjoint(=mutually exclusive)하다는 것은 동시에 일어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며, 다른 한 사건이 일어났을 때, 반드시 다른 한 사건은 아예 일어날 수 없다.

벤다이어그램 상에서 겹치는 영역이 아예 없으며, 이는 indendent과 구별되어야 한다.

만약 3개의 사건 에 대해서 각 사건이 서로 mutually independent하다면

가 성립한다.

단,

  • 가 모두 만족하는 것이 확인되어야 한다. 즉, 전체 독립과 쌍 독립(pairwise independence)가 모두 확인되어야 성립한다. 전체적으로 봤을 때 독립이라고 해도, 두 사건끼리는 독립적이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3개가 아닌 개로 확장하더라도, 개의 사건들이 서로 완전히 상호 독립적이라면

와 동치이다.

Kolmogorov's Axioms

  • : 모든 사건의 확률은 0 이상이고 1 이하이다. 이는 Axiom 1로부터 자명하다.
  • or : 모든 사건의 확률의 합은 1이 된다.
  • : 두 합사건의 확률은, 각 사건 확률의 합에 곱사건의 확률을 뺀 것과 동일해진다.
    • 벤 다이어그램으로 보면 다음과 같다.
    • Inclusion-exclusion Principle으로 일반화되는 원리이다.
    • 만일 두 사건이 mutually exclusive라면, Disjoint(동시에 일어나지 않으므로)와 동치되므로 이 된다. ⇒ Axiom 2
toc test

이 페이지는 리디주식회사에서 제공한 리디바탕 글꼴이 사용되어 있습니다. 리디바탕의 저작권은 리디주식회사가 소유하고 있습니다.

This Font Software is licensed under the SIL Open Font License, Version 1.1.

Copyright 2025. yiksan0315 All rights reserved.